본문 바로가기
보건환경

핸드폰 미생물 배양 실험 과정과 결과, 느낀점 (핸드폰 세균)

by 그린환경보건경제노트 2023. 2. 13.

 

핸드폰 미생물 배양실험을 통해서 핸드폰에 얼마나 많은 미생물들이 있는지 알아 보았다. 핸드폰에 있는 세균들을 배양해 보면서 핸드폰 소독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다. 매일 손에 놓지 않고 들고다니는 핸드폰을 하루에 신경써서 수시로 소독해준다면 더욱 건강한 삶을 살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실험이었다. 

 

핸드폰의 세균

우리는 핸드폰을 매사 들고 다닌다. 시간이 갈수록 더 중독되어 눈 밖에 있으면 불안할 정도이다. 요즘 같은 코로나 시국에 핸드폰 또한 자주 소독하지 않으면 유해할 수 있어서 필자는 시간이 날 때마다 알코올 솜으로 소독을 자주 해주려고 노력한다.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등에는 피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포도상구균이나 눈에 감염을 일으키는 녹농균, 위염을 일으키는 살모넬라 균, 요새 아기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파라바이러스 균 등이 붙어 있을 수 있다. 특히 보호 케이스는 가죽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는 데 그 사이사이에 세균이 숨기 쉬운 틈이나 주름이 수없이 많다.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최대 30%는 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의 손에 옮아갈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화장실 변기 손잡이보다 18배 이상 많은 박테리아가 이러한 휴대폰에 붙어 있다는 끔찍한 사실도 있다. (관련 기사를 참고했을 뿐 정확히 18배라는 근거는 해당 포스팅에 첨부하지 않았다.) 베이비파우더를 이용해 박테리아가 터치스크린 전자제품에 얼마나 쉽게 달라붙을 수 있는지를 실험해 본 결과(CBS 방송의 의학담당 기자인 제니퍼 애슈턴 실험 참고) 사용자들이 휴대폰을 얼굴 가까이에서 사용하고 손가락으로 만진 뒤에 다시 손으로 자신의 입과 코를 만지면서 바이러스가 인체로 쉽게 옮겨 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서 감기 및 독감 바이러스는 물론 노로바이러스, 대장균, 황색포도알균에 까지 감염될 수 있다. 

 

실험 과정 

 1) 삼각플라스크에 100ml의 증류수를 넣고 LB broth 2.5g ( Tryptone 10g, yeast extract 5g, sodium chloride 10g; total litter)를 넣 녹인다.

 2)  Agar powder 1.6g을 첨가하고 마개를 호일로 막아준다.(Agar는 배지의 성분 중에 가장 많이 쓰이는 한천을 말하며 상온에서 녹지 않는다.) 그리고 Autoclave에서 1시간 멸균한다.

3) 배지가 액체는 유지하되 뜨겁지 않도록 약 60 ºC가 될 때까지 배지를 식힌 후에 약 20mL씩 다섯 개의 Petridish에 븟고 굳힌다. 

4) 면봉으로 관찰 대상의 미생물을 묻혀 실링한 뒤 이름을 써붙이고 일주일 동안 관찰한다. 

 

실험 결과 및 고찰 

좌측 9월 11일 촬영, 우측 9월 13일 
9월 15일 관찰사진

미생물 배양 실험을 처음 해보아서 휴대폰 표면에 있는 붙어 있는 세균 등이 일주일 내에 이렇게 증식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하였다. 실험에 서툴러서 LB 양을 잘못 넣었는지 노란색이 아니라 몇 개는 붉은 계열의 배지로 실험을 하게 되었는데 총 다섯 개 배지 중에 두 개는 노란색 배지, 나머지 세 개는 붉은색 배지로 배양했다. 9월 11일에는 바로 다음날이라 그런지 아주 작은 콜로니(지름 1~2mm 정도) 9개 정도가 관찰되었고, 9월 13일에는 21개의 콜로니와 가로 약 2cm 세로 1Cm의 비교적 큰 하나의 콜로니가 관찰되었다. 콜로니의 색은 분홍색, 노란색, 주황색 등이 관찰되었다. 

 

배양 실험 후 느낀점 

직접 휴대폰 세균을 배양해보고 사진을 찍고 콜로니 관찰도 해보고 나니 역시 핸드폰을 잘 닦고 다녀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요새는 코시국이라해서 UV휴대용 소독기도 많이 나왔고 핸드폰 소독 방법도 참 다양하므로 손 잘 닦는 것도 참 중요하지만 핸드폰도 잘 소독하고 다녀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동시에 변기 세균도 채취해서 같이 비교해 보는 것도 좋았을 텐데 그 생각을 못했다. 나의 실험 결과는 정말 공신력 하나도 없는 초짜의 실험이기 때문에 그냥 재미로 참고만 하셨으면 좋겠다. 그리고 이런 실험 사진 찍을 때는 카메라를 잘 닦아서 좋은 사진을 얻어야 한다는 것도 참 중요한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