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와 독감시즌에 또는 최근 코로나와 같은 대유행 기간 동안 질병의 확산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올바른 손 씻기입니다. 손 씻기의 중요성과 적절한 손 씻기 방법 그리고 장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또한 부득이하게 손을 못 씻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대안방법에 관해서도 알아볼까요?
손 씻기의 중요성과 장점
감기 바이러스와 여러 세균은 악수와 같은 직접적인 접촉이 아니더라도 핸드폰이나 대중교통 손잡이를 만지는 등 간접 접촉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쉽게 번질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손을 씻지 않고 눈과 코 또는 입을 만지게 되면 바이러스가 몸에 퍼져 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로 그냥 손을 헹구는 것이 아니라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깨끗하게 씻는 것은 질병에 걸리는 것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비누를 사용하게 되면 손에 있는 세균을 둘러싸고 있는 지질막을 분해하여 물에 씻겨 내려갈 수 있게 합니다. 또한 질병을 방지하는 것 외에도 전반적인 건강과 위생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피부에 있는 먼지 및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피부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물론 최대한 만지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깨끗한 손으로 얼굴을 만지는 것은 얼굴 피부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규칙적으로 손을 씻으면 병에 걸릴 위험을 훨씬 줄여주기도 하고 피부 건강을 지켜주기도 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적절한 손씻기 방법 6단계
우리 일상에서 손 씻기는 화장실 사용 후에, 음식을 준비하기 전에, 동물이나 배설물을 치워서 만진 후에, 코를 풀거나 기침을 한 후, 공공장소에 다녀온 후 등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바른 손 씻기 6단계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코로나로 인해서 잘 알고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적절한 손 씻기 방법을 6단계로 나누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수도꼭지를 틀고 손을 물에 적신 후에 비누를 충분히 발라줍니다. 손바닥과 손바닥을 마주대고 거품을 문질러주세요.
2. 손바닥을 서로 문질러 줬으면 손바닥과 손등을 마주대고 문질러 주세요. 최소 20초 이상 동안 손을 닦아야 좋습니다.
3. 손가락 사이사이를 깍지껴서 문질러주세요.
4. 두손을 모아 손가락을 마주 잡고 문질러줍니다.
5. 엄지손가락을 반대편 엄지손가락으로 문질러줍니다.
6. 손가락을 반대편 손바닥에 놓고 굵듯이 문질러줍니다. 30초 이상 충분히 헹궈주었으면 물로 손을 닦아 비누와 떨어져 나온 각종 세균들을 씻어냅니다. 깨끗한 수건이나 비치된 공기 건조기를 사용하여 손의 물기를 잘 제거해 주세요. 손을 잘 말리는 것 또한 세균의 확산을 방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6단계를 30초 동안 충분히 따라서 손을 깨끗하게 씻어줍니다. 특히 음식을 먹기 전이나 준비하기전, 기침과 재채기 또는 코를 푼 후에 하루종일 정기적을 손을 씻어주세요.
손을 씻지 못할 때의 대안 방법
가까이에 있는 화장실이 고장 났거나 화장실이 근처에 없어서 손씻기가 불가능할 때는 물로 손을 씻지 않고도 무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대안방법도 있습니다. 바로 소독제 사용입니다. 소독제를 사용하면 물 없이도 손을 무균 상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손의 세균을 죽이도록 만들어진 액체 또는 젤의 제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코올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대신 향이 첨가된 소독제는 호불호가 갈릴 수 있으니 자신의 취향에 맞는 향을 갖추거나 자신이 원하는 제형의 소독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손소독제는 피부의 세균을 피부막을 파괴하고 미생물의 단백질을 변형시켜 죽이는 방식인데요. 손소독제를 손바닥에 소량 덜어 손소독제가 완전히 마를 때까지 계속 문지릅니다. 손소독제는 손의 모든 부위를 꼼꼼하게 덮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건조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지 않도록 많은 사용은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손소독제 사용도 간편하고 좋지만 손에 잔류물이 남을 수도 있고 손이 눈에 띄게 더럽거나 기름기가 묻었을 때 비누로 손 씻기에 대한 대체가 되지 않는다는 점이 안 좋은 점이기도 합니다. 올바르게 사용하고 피부에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한 제품을 서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니트릴 장갑 같은 장갑을 착용하거나 다양한 사이즈로 출시된 소독 물티슈를 사용하는 것도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두 방법은 손씻기 대안이 될 수는 있지만 비누와 물로 손 씻는 방법이 질병과 질병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표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건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오염방지시설 설계 공부하는 방법들, 입사후 할일들, 설계 시 참고 자료들 (0) | 2023.02.13 |
---|---|
핸드폰 미생물 배양 실험 과정과 결과, 느낀점 (핸드폰 세균) (0) | 2023.02.13 |
ESG의 현주소 체크하기 (1) | 2022.06.13 |
수질 모델링의 필요성, 역할과 목적, 구조, 프로그램들 (0) | 2022.01.28 |
환경 측정 분석직에 대한 업무 구분 및 장단점 (0) | 2022.01.12 |
댓글